갱신형 보험과 비갱신형 보험의 장단점 비교

에디터B

·

2021. 12. 1. 20:45

반응형

보험은 참 어렵습니다. 갱신형과 비갱신형, 만기 환급형, 특약 가입 여부 등 고객들이 선택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이 때문입니다. 게다가 선택 사항에 따라서 보험료가 천차만별로 달라지기도 합니다. 과연 어떻게 선택을 해야 매달 내는 보험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갱신형 보험과 비갱신형 보험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며 장단점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유형이 더 좋다 나쁘다기보다는 본인의 성향과 기호에 따라서 더 적합한 유형이 있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보험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갱신형 보험의 장단점

 

갱신형 보험은 보험료가 일정하지 않고 일정 주기로 '갱신'이 되며 보험료가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갱신형 보험의 가장 큰 장점은 처음 가입할때 보험료가 비교적 저렴하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단점은 비갱신형 보험에 비해 보험료 납부기간이 길다는 부분입니다. 또한, 매번 갱신이 될 때마다 납부하는 보험료가 높아진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사람이 나이가 들수록 아플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보험금을 받을 확률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보험사 입장에서는 손해를 줄이기 위해 보험료 갱신을 통해서 점점 보험료를 올리는 것입니다.

 

비갱신형 보험의 장단점

 

비갱신형 보험은 보험료가 갱신이 되지 않아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보험료를 납부하는 구조입니다. 비갱신형 보험의 단점은 가입시점에 갱신형 보험보다 비교적 높은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비갱신형 보험의 경우에는 가입 이후 갱신을 통한 추가적인 보험료 인상이 없기 때문에 가입할때부터 비교적 높은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정 납입기간이 끝나면 오랫동안 동안 보험료를 납입 하지 않아도 약정된 기간 동안 보장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 사례 비교

 

암진단금 5천만원을 보장해 주는 갱신형 보험과 비갱신형 보험의 최초 가입시 보험료를 대략적으로 비교해 봤을때 40세 남자 기준 갱신형 보험은 약 18,000원, 비갱신형 보험은 71,000원을 내야 합니다. 

 

즉, 비갱신형 보험이 3.5~4배 가량 보험료가 높기 때문에 흔히들 갱신형 보험이 더 이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비갱신형 보험은 보통 60세 까지 보험료를 납부하고 100세까지 보장받을 수 있는 반면, 갱신형 보험은 100세까지 계속해서 보험료를 납부해야하며 10년마다 보험료가 인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은퇴 이후에도 보험료를 계속 납부해야한다고 생각했을때 갱신형 보험 쪽이 조금 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은퇴 이후 소득도 고려해야할 것입니다.

 

보통 65~70세 정도가 되면 갱신형 보험과 비갱신형 보험에 납입한 보험료가 동일해 집니다. 하지만 갱신형 보험은 보장 기간동안 계속해서 보험료를 납부해야하는 경우가 많기에 오히려 보험료를 더 많이 내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본인에게 더 적합한 보험은 어떤 것인지 면밀히 비교하고 찾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